반응형
SMALL

돈 버는 이야기 4

제약회사 QA 진짜 필요한 세가지 스펙, 필수 역량

안녕하세요 최선임입니다. 제약회사 QA를 준비하고 계시다면,어떤 스펙을 더 쌓아야 할까 고민이 되실 텐데요.현직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스펙들 지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진짜" 영어 공부 QA에서는 비즈니스 메일뿐 아니라 통화, Audit 등 직접적으로 외국 업체와 컨택할 기회가 많습니다. 영어 점수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영어에 능숙한 것도 중요하죠. 영어가 전부는 아니지만, 외국어를 잘하면 다양하고 많은 기회가 찾아옵니다. 2. 검증된 기관의 직무 교육(개인 X) or 인턴 or 현장실습 or 계약직 사실 직무 교육은 업무에 대한 관심도만 나타내는 정도이지,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인턴이나 현장실습 같은 실무 경험이 더 중요하죠. 인턴과 현장실습의 기회가 없..

제약회사 QA 지원동기 이렇게 쓰면 될까요? (신입, QC에서 QA 이직)

자기소개서를 처음 쓸 때 지원동기 부분 쓰는 게 항상 어려웠던 기억이 납니다.내가 이 회사만 지원하는 것도 아니고, 이 직무만 지원하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죠.저는 주제는 동일하게, Byte 별 버전을 따로 가지고 있었습니다.처음 쓸 때만 고생하니까 다음부터는 좀 쉬워지더라고요.서류 합격률 80%에 달했던 저의 제약 QA 지원동기 쓰는 방법을 지금 공개합니다. 1. 산업에 집중왜 제약산업에 관심을 갖게 됐나요? 아주 작은 단서라도 찾아보세요.대학교 랩실 생활, 들었던 전공과목, 또는 봉사활동, 개인의 특성 등 모든 것이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예를 들면..1) 계속해서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고, 제약사들은 연구개발 비용을 늘리고 있다 → 산업 성장 가능성2) 제약 산업은 엄격한 규제 준수가 ..

제약회사 QC, QA 차이점(품질관리, 품질보증 고민된다면)

저는 QA 현업자입니다. 인턴으로 QC 생활을 짧게 했었고, 그때 QA 직무가 멋있어 보여서 QA를 본격적으로 준비했습니다.QC의 경험을 어떻게 QA에 녹였고, 지원동기를 어떻게 썼는지는 차차 글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이번 주제는 품질본부(품질관리, 품질보증)의 이야기입니다. 제약회사에 취업은 하고 싶지만QC(Quality Control, 품질관리), QA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중 직무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QC가 하는 일 QC는 제품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테스트하고 검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제조 과정에서 생산된 제품이 규정된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전공에 따라 QC는 크게 이화학, 미생물 QC로 나누어집니다.(케미컬 회사에..

제약GMP, SOP가 뭔가요? (제약회사 면접 단골 질문)

"GMP가 뭐라고 생각합니까?""GMP를 잘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취준생 시절 개념은 외웠지만 대체 이게 뭐야 생각했습니다.사실 지금도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보면 답을 잘 못합니다.  GMP는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약자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의 제조 및 품질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말합니다. 이는 제품이 일관되게 고품질로 생산되고, 안전하게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절차와 지침을 포함합니다. GMP는 각 나라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 원칙은 비슷합니다.     각 국의 GMP 가이던스를 잘 참고해서 만든 것이 각 제약회사에 있는 SOP입니다. SOP는 "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의 약자로, 표준 운영..

반응형
LIST